취향의 숲, 봉천위크 봉천 소재 문화공간을 거점으로 스탬프 투어를 활용한 주민참여 프로그램 운영
살롱 드 취향 생활예술활성화 지원사업 [관악동행]과 연계하여 활동 성과발표 공연⋅전시⋅체험존⋅플리마켓⋅원데이클래스 운영
아카이브북 관악만의 ‘N’을 찾기 위한 기반조성부터 프로젝트까지 전 과정을 아카이브한 책자
(지역 중심 문화 네트워크 형성) 지역 주체 스스로 지역에 관심을 가지고,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발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됨
(문화자원 자생력 확보) 지역 내 다양한 삶의 형태를 예술로 호명하고 소통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술가와 시민 간 공감대 형성
관악이룸(異:Room)
관악 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시민거버넌스 [시민운영단] 운영, 주민이 공감하고 주체가되는 문화도시 관악의 기반을 마련 하였다. [우주관문 더클래스] 시민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문화도시 형성 [시민기획사업] 주민주도의 사업추진과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 문화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도시문화를 창조하는 도시발전 체계 마련
대상
관악 문화도시 조성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주민
기간
2024.04. ~ 2024.12
문의
관악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02-889-5631
사업목적
핵심주체 양성 문화도시 사업을 기획하고 주도적으로 운영할 핵심 지역주체를 양성하고 다양한 세대별 계층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공감대 형성 주민협의체 및 사업의 주요 참여자를 핵심으로 한 거버넌스 운영을 통해, 관악 지역 내에서 문화도시 구상과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구체적인 토론을 촉진
의견수렴 주민이 스스로 만드는 문화도시 관악을 위해 주민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지역의 구체적인 의제를 발굴하고 문화도시 조성계획에 반영하며, 주민 중심의 구체적인 지역 의제와 개선방안을 도출
주요내용
시민운영단 주민주도의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문화도시 의제발굴 등
열린시민학교 문화도시 명사특강
시민기획사업 시민기획사업 실행, 주민공론장 등
추진내용 및 성과
문화도시 거버넌스 운영체계 구축
시민운영단 지역·분야별 19명
- 관악 문화도시 시민의제 발굴 워크숍 등 : 13회 232명참여
- 의제발굴 보고서 발간 1건, 시민기획사업 실행
시민기획사업 2건
① 주민공론장 ‘도시美담-우리는 문화도시 관악에 산다’ 운영 24.12.2.(총 70명)
- 단계별 의제 발굴 및 토론, 적극적 주민 참여와 거버넌스 강화
- 관악 문화도시로서의 지역 정체성 및 방향 구체화
- 관악구문화도시센터의 방향성 공유 및 소통을 통한 신뢰성 구축
- 지역 특성을 살린 문화도시 전략 필요성 공감
② 우주관문페스타 시민기획부스 참여 24.11.2. (총4팀 92명 참여)
- ‘탄소중립 실천도시 관악’ 정크아트 부스운영 등
열린시민학교
- 총 2회 330명 방문
- 1회: 김병조(방송인)·변아영(방송인) 24.11.2. 으뜸공원 가설무대 ‘고전으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 2회: 송길영(작가, 마인드마이너) 24.12.23. 약사신협 5층 강당 ‘시대예보: 문화로 미래를 설계하다’
생활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생활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관악동행>은 생활예술 활동을 통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일상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지원으로, 주민들의 접근성을 높여 주체적인 예술참여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대상
지역 주민, 관악구 생활권자, 관악구 내 생활예술동아리
기간
2024. 7.1. ~ 2024. 12.30.
문의
관악문화재단 생활예술팀
02-828-5745
사업목적
지역 내 생활예술 생태계 활성화 및 시민 문화 향유 증진
지역 누구나 예술에 쉽게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 공동체 문화적 유대 강화
문화적 약자를 포함한 모든 주민의 예술 활동 참여 기회 확대
주요내용
생활문화 동아리에 대한 재정적 지원, 문화예술 활동 공간의 대관 지원, 문화 행사 및 네트워크 기회 제공
동아리 참여자들이 주민과 직접 소통하고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 마련
모집형 클럽 활동을 통해 편견 없는 개인의 취향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이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
추진내용 및 성과
생활예술동아리 발굴 및 지원생활예술동아리 발굴 및 활동지원, 사회공헌활동 지원
모두의 클럽 주민 수요기반 문화향유 프로그램(8개) 운영
생활예술축제 개최 누구나 취향을 공유하는 활동 성과 발표 공연, 전시, 체험존, 플리마켓, 원데이 클래스 운영
주요성과
- (주민이 만드는 생활예술) 생활예술동아리 활동 분야별 맞춤형 지원과 상호교류 활성화
- (이웃을 만나는 생활예술) 개인이 모여 ‘취향 공동체’로 거듭나는 소규모 클럽 활동 운영
- (일상을 나누는 생활예술) 생활예술축제 개최로 지역주민 누구나 함께하는 생활예술 확산
동네방네 문화골목
관악구 지역 자원을 연계한 시민 주도 마을 문화콘텐츠 기획·운영
시민학교 주민프로젝트를 발굴 및 시민 주체 참여 프로그램 운영 추진
시민 문화향유권 신장 및 다양한 주민 참여와 협력으로 동네문화 형성
대상
문화도시 사업 운영에 참여하고자 하는 관악구 예술인 및 단체
시민역량강화 교육을 통해 발굴된 시민문화기획자
기간
2024.8 ~ 2024.11
문의
관악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기획운영파트
02-889-5632
사업목적
권역별로 동네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주민들의 문화향유권 신장
다양한 주민들 참여 · 협력으로 지역을 즐기는 동네 문화 형성
주요내용
주민과 소상공인이 기획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관악형 문화도시를 만들어가는 창의적 · 민주적 프로젝트 관악형 플랫폼 축제 개최
시민문화기획자의 자체 기획 문화예술 프로젝트 실행 지원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새로운 지역 콘텐츠 발굴 및 문화기획자로서의 역량 향상
추진내용 및 성과
2024년 6개 세부사업, 개별 프로젝트 총 11개팀 추진
관악구 여행예능 가보자고 콘텐츠
관악구 여행예능 <가보자고>는 관악 거주 외국인들의 관악구 여행 배틀[플랭크 투어 vs 얀 튜어]로 요한나가 프랭크 투어 및 얀 투어를 체험하면서 각 투어의 승패가 결정되며 유튜브 본편 및 쇼츠 영상 28편, 틱톡 쇼츠 13편, 인스타그램 쇼츠 13편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채널 운영, 지속적인 콘테츠 홍보를 진행함
대상
관악구민(청년) 및 전체
기간
2024.7.1. ~ 2024.12.30
문의
관악문화재단 청년문화팀 (미디어 센터 관악)
02-6385-7500
사업목적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주체의 참여를 통한 관악형 지역문화 생태계 구축
지역 동종업계, 주민이 교류하는 문화 향유의 장 마련
관악 문화자원을 찾고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의 이슈를 공론화하여 새로운 문화자원 및 지역 콘텐츠 발굴
흩어진 지역문화 주체를 잇고 자생력을 갖춘 문화집단으로 성장하도록 지원
주요내용
관악구 여행 예능 콘텐츠 기획제작
- 관악 거주 외국인들의 관악구 여행 배틀(플랭크투어 vs 얀튜어)
- 촬영지 : 관악구 12곳
- 유튜브 콘텐츠 28편 제작, 누적조쇠수 100,672회(전년 대비 124% 증가)
- 유튜브 구독자 40% 증가
- TV방송 편성 및 딜라이브 OTT 서비스 런칭 등 신규 영상 홍보 플랫폼 확장
- 콘텐츠 만족도 97%
우수 로컬 비즈니스 모델 선정 후 지원<
추진내용 및 성과
영상 누적 조회수 : 100,672회(24.1.8기준)
HCN지역채널 편성 : TV방송용 6편 송출 (총 36회 송출)
OTT 서비스 : ㈜딜라이브 OTT’v 유튜브 링크형 콘텐츠 제공
콘텐츠 연계 이벤트 진행 : 23.10.18~23.11.7, 2,075명 참여
숏챔페스티벌
‘문화도시 관악’ 키워드의 다양한 숏폼 공모와 크리에이터들의 발굴과 창작지원
창작물을 선발하는 이벤트를 넘어 창작자와 관객, 사회와 연결하는 새로운 문화로 지역기반 콘텐츠 확장
대상
관악을 기반으로 한 숏폼 크리에이터 및 일반시민
기간
2024.05. ~ 2024.9
문의
관악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02-889-5631
사업목적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한 콘텐츠로 다양한 산업과 연계가 가능한 장르로 짧고 강렬한 숏폼 콘텐츠의 영향력이 확장
관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의 창작기회를 제공하고 모바일 친화적인 숏폼문화의 다양성을 통한 관악형 문화콘텐츠 개발
주요내용
숏챔페스티벌 개최
- 일시 및 장소: 2024. 9. 20.(금) 19:00/ 관악아트홀
- 시상 내용: 숏폼 챔피언 포함 14편 시상 (결승작 10편, 비경쟁부문 4편)
- ‘빅재미 큰웃음’ 주제의 숏폼 챔피언 결승작의 현장심사와 시상, 페스티벌 운영
추진내용 및 성과
공모작 94편 중 숏폼 챔피언 포함 14편 시상(전문심사단 4명, 현장 관객심사단 200명) 지역주민 300명 참여
모바일 친화적인 숏폼 창작물을 관악아트홀에서 창작자와 관객이 함께 즐기는 ‘숏챔’ 결승작 현장심사와 시상, 페스티벌 성료
MC로 방송인 박경림님과 배우 예지원님이 심사위원장으로 참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