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재단소식

재단소식-제목, 작성일,조회수,첨부파일로 구성
2020년 관악 우수창작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 안내
작성일 2020-07-20 조회수 962
첨부파일

 

관악문화재단 공고 제2020-26호 2020년 관악 우수창작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 안내 2020년 관악 우수창작 문화콘텐츠 지원사업에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공모에는 총 30팀이 지원하였고, 서류 및 면접심의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팀이 선정되었습니다. 관악문화재단에서는 외부 전문가 5인을 심의위원 으로 구성하여 사업계획의 타당성, 사업내용의 충실성, 사업 파급효과 등을 고려하여 심의 기준에 따라 심의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선정결과를 아래와 같이 공지합니다. 2020년 7월 20일 재단법인 관악문화재단 1. 최종 선정결과 (가나다 순) 연번 분야 개인(단체)명 사업명 선정금액(원) 1 융·복합 남경순 모바일 뮤직 드라마_녹두거리 희비쌍곡선 15,000,000 2 스토리 문화공작소 상상마루 소년영웅 강감찬 오디오 뮤지컬 & E-Book 개발 13,000,000 3 스토리 쉼잉 신림동 고시원 302호(가제) 11,000,000 4 음악,곡 케렌시아 마인드풀 관악 11,000,000 2. 심의평 [요약] 전반적으로 관악 지역에 대한 사전 취재를 통해 안정된 기획을 구상하고 있는 팀들이 많았다. 다만, 지역과 예술을 연계함에 있어서 지역을 소재로만 활용하고 예술적 표현과 배급은 중앙의 메이저 시장을 고려한 기획이 많았던 점은 아쉬웠다. 지역이 주체가 되고, 지역민들을 바로 시장으로 소구하는 ‘관악 관점’의 기획과 성찰이 다음 사업부터는 많아지길 바란다.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창작물들이 돋보였다. 특히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물을 향한 열정이 작품에 담겨져 있어, 향후 본 사업이 희망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참신성이 다소 부족해 보이는 작품들이 다수 있어 아쉬웠다. 선정된 작품은 추후 지역을 기반으로 더 디벨롭하여 확장하는데 자질과 잠재력이 엿보이는 단체를 우선 선정하였다. 올해 사업의 결과가 내년까지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 되었으면 한다. 심의위원 심의평 A 전반적으로 관악 지역에 대한 사전 취재를 통해 안정된 기획을 구상하고 있는 팀들이 많았음. 다만, 지역과 예술을 연계함에 있어서 지역을 소재로만 활용하고 예술적 표현과 배급은 중앙 의 메이저 시장을 고려한 기획이 많았던 점은 아쉬움. 지역이 주체가 되고, 지역민들을 바로 시장으로 소구하는 ‘관악 관점’의 기획과 성찰이 다음 사업부터는 많아지길 바람. 청년예술가들에게는 기획과 마케팅 등에 다소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이 재단 차원에서 제공되면 보다 큰 사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듯. B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창작물들이 돋보였음. 특히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물을 향한 열정이 작품에 담겨져 있어, 향후 본 사업이 희망적임을 알 수 있었음. 다만, 젊은 창작자임에도 창작 방식, 형식 등이 진부한 일부가 있어 단계별 지원(육성을 위한)을 위한 검토가 필요할 듯함. C 많은 창의적인 콘텐츠와 다양한 장르에 걸쳐서 도전한 참가자들이 나와서 흥미로웠음. 비록 관악의 우수성과, 주제에 대한 콘텐츠이지만, 각 단체와 개인의 개성과 성격을 펼칠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으로 보임. D 장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창작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판단됨. 대다수 ‘관악’이라는 지역적 소재를 기반으로 했으나 참신성(스토리 장르, 특히)이 다소 부족해 보이는 작품들이 다수 있어 아쉬움. 선정된 작품은 추후 지역을 기반으로 더 디벨롭하여 확장하는데 자질과 잠재력이 엿보이는 단체를 우선 선정하였음. E 관악 거주예술인 및 타 지역 예술인 등 많은 지원이 있었음. 장르적으로도 다양한 방법들로 접근하며 차별성을 가지고자 하는 지원자들이 많이 눈에 띄었음. 올해 사업의 결과가 내년까지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임. 많은 지원자(단체)에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예산적 부분에 아쉬움이 남음. 향후 지역문화재단의 지원사업에 좋은 모델이 되길 바람 3. 심의위원 (가나다 순) 박성식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정책실장,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빙교수 방지영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아시테지 코리아) 이사장 조재형 프로젝트 프롬나드 음악감독, 비루투오지챔버오케스트라 첼리스트 차수정 (주)인터파크씨어터 공연사업부 공연기획팀 선임PD 차정훈 컬처버스PD 4. 향후 일정 보조금 전용 통장 개설 : ~ 7. 24.(금) 보조금 교부·집행·정산 안내서 배포 및 교부 신청서 제출 : ~ 7. 31.(금) 사업비 교부 : ~ 8. 7.(금) 5. 문 의 : 관악문화재단 예술진흥팀 02-828-5852, 5863 심의위원 심의평 A 전반적으로 관악 지역에 대한 사전 취재를 통해 안정된 기획을 구상하고 있는 팀들이 많았음. 다만, 지역과 예술을 연계함에 있어서 지역을 소재로만 활용하고 예술적 표현과 배급은 중앙 의 메이저 시장을 고려한 기획이 많았던 점은 아쉬움. 지역이 주체가 되고, 지역민들을 바로 시장으로 소구하는 ‘관악 관점’의 기획과 성찰이 다음 사업부터는 많아지길 바람. 청년예술가들에게는 기획과 마케팅 등에 다소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이 재단 차원에서 제공되면 보다 큰 사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듯. B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창작물들이 돋보였음. 특히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물을 향한 열정이 작품에 담겨져 있어, 향후 본 사업이 희망적임을 알 수 있었음. 다만, 젊은 창작자임에도 창작 방식, 형식 등이 진부한 일부가 있어 단계별 지원(육성을 위한)을 위한 검토가 필요할 듯함. C 많은 창의적인 콘텐츠와 다양한 장르에 걸쳐서 도전한 참가자들이 나와서 흥미로웠음. 비록 관악의 우수성과, 주제에 대한 콘텐츠이지만, 각 단체와 개인의 개성과 성격을 펼칠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으로 보임. D 장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창작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판단됨. 대다수 ‘관악’이라는 지역적 소재를 기반으로 했으나 참신성(스토리 장르, 특히)이 다소 부족해 보이는 작품들이 다수 있어 아쉬움. 선정된 작품은 추후 지역을 기반으로 더 디벨롭하여 확장하는데 자질과 잠재력이 엿보이는 단체를 우선 선정하였음. E 관악 거주예술인 및 타 지역 예술인 등 많은 지원이 있었음. 장르적으로도 다양한 방법들로 접근하며 차별성을 가지고자 하는 지원자들이 많이 눈에 띄었음. 올해 사업의 결과가 내년까지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임. 많은 지원자(단체)에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예산적 부분에 아쉬움이 남음. 향후 지역문화재단의 지원사업에 좋은 모델이 되길 바람 3. 심의위원 (가나다 순) 박성식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정책실장,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빙교수 방지영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아시테지 코리아) 이사장 조재형 프로젝트 프롬나드 음악감독, 비루투오지챔버오케스트라 첼리스트 차수정 (주)인터파크씨어터 공연사업부 공연기획팀 선임PD 차정훈 컬처버스PD 4. 향후 일정 보조금 전용 통장 개설 : ~ 7. 24.(금) 보조금 교부·집행·정산 안내서 배포 및 교부 신청서 제출 : ~ 7. 31.(금) 사업비 교부 : ~ 8. 7.(금) 5. 문 의 : 관악문화재단 예술진흥팀 02-828-5852, 5863
-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